로지텍 MX KEYS 맥북 윈도우 같이 사용한다면 필수

로지텍 MX KEYS는 맥과 윈도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생각을 해 볼만합니다. 낮은 키가 적응을 하는데 시간이 필요로 하지만 그래도 쓰다보면 오타가 많이 없이 편하게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미니버전도 몇개월전에 나왔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업무도 봐야하기 때문에 타자치다가 마우스로 넘어가는데 멀긴 하지만 어차피 타자위주로 많이 하기 때문에 키감이 살짝은 높은 것 빼고는 아주 좋습니다.

 

 

 

로지텍-mx-keys-사진

로지텍 MX KEYS 기기 전환이 편합니다.

소제목 그대로 로지텍은 개인적으로 기기간 전환이 엄청 빠릅니다. insert키 위의 1,2,3 버튼으로 직관적으로 기기간 전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로지텍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화면 중앙아래에 한영변환이라든가 FN키 + ESC를 통해서 미디어키와 F키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습니다.

 

Unifying USB 수신기는 맥전용은 모르겠는데 윈도우와 맥이 사용 가능한 것은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사용할 때 블루투스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맥북에는 블루투스가 기본적으로 있기 때문에 사용이 블루투스로 연결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미니버전인지는 모르겠지만 초기의 비번 치는게 안되다는 말이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한 번 찾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로지텍-mx-master3-for-mac

로지텍 MX MASTER3와도 사용해도 좋다.

저는 사무실과 집에서 둘다 로지텍 MX MASTER3를 사용중에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mac버전(윈도우사용됨)이라 색상이 좀 더 검은색에 가깝습니다. 그 점 유념하시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 게임용으로는 무리인 것 같고요. 웹 검색할때 스크롤 내리거나 올릴때 중앙부분을 한 번 움직이면 되니 편합니다.

제 손크기와 휠 때문에 먼저 구입을 했습니다. 사용하니 다른 마우스는 솔직히 조금 이제는 불편할 정도네요..

 

프로그램도 같이 한 번만 설치하면 되니.. 이점이 장점인 것 같습니다. 물론 가격이 사악하다는 것은.. 똑같습니다. 그렇지만 로지텍 내구성은 모르겠지만 사용감만큼은 현재 매우 만족 중입니다.

 

M1맥북에어-사진

윈도우와 맥을 동시에 사용하면 한영전환이 무조건 불편합니다.

이미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맥과 윈도우의 같이 사용하면 가장 불편한점이 바로 한영전환입니다. 복사나 붙여넣기 할때 윈도우 ctrl과 맥의 cmd는 생각만 하면 금방 적응을 하는데요.. 문제는 개인적으로 맥에서 한영전환이 도저히 적응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맥북의 오른쪽 cmd를 한영전환키로 바꿔줘야 했습니다.맥에서 윈도우키보드를 키를 변환해주는 karabiner(카라비너)를 설치하면 일반키보드는 무리없이 사용을 할 수 있지만 로지텍 mx keys는 절대 사용을 못합니다.

 

위의 미디어키들이 로지텍이 만들어 놓은 키가 한칸씩 밀리기 때문에 외부모니터 이용할 때는 무조건 설정을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 결국 명령어를 통해서 바꿔줘야 합니다. 그래야 딱 오른쪽 cmd키만 한영전환으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M1 맥북 한영전환 키 지정 방법(프로그램 설치X)

애플 실리콘 맥에서 Karabiner-Elements가 동작은 하지만, 재부팅 시 아래와 같이 커널 패닉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되어 어쩔 수 없이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한영 전환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taedi.net

위 링크처럼 프로그램 설치 없이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구글링을 통해서 검색을 해서 진행을 했는데 위 방식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하여튼 위의 링크의 댓글을 보시면 대부분 해결 됐다고 하니 그대로 따라하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물론 맥에 익숙하신 분들은 굳이 손 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면서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