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 code 조회 이렇게해요
- 일상정보
- 2020. 2. 21. 16:33
최근에는 해외직구를 하는 분들도 많으시고, 무역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해외 물건 수입 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hs code죠. hs code에 대해서 모르는 분들도 여럿 있으신데, hs code란 품목에 따라 부여되는 코드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1988년 국제협약으로 채택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로 무역거래 상품을 숫자 코드로 분류해 체계를 통일화하고 국제무역을 완활하게 하며, 관세율을 일관성있게 적용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hs code의 앞 2자리는 상품군 구분이고요, 3~4자리는 품목 종류별/가공도별 분류, 5~6자리는 품목 용도/기능분류, 7자리부터는 각 나라별 세분화 숫자 부여라고 합니다.
우선은 hs code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관세법령정보포털이라는 사이트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은 법령과 관세정보, 통관, 세계HS, 평가, 관세율, 행정예고 등의 정보 안내가 가능한 사이트입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로 들어가보시면 상단 메뉴가 법령/판례 등과 관세정보, 세계HS, 관세평가, 편의기능, 새소식, 정보공개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 보이실 거예요.
여기에서 세계HS를 누르시면 HS정보라며 속견표, HS해설서, 관세율표, HS비교, 세계HS개정표, HS협약 개정자료 등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여 넘어가시면 우선 속견표에 대해서 확인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우측에 국기가 쭉 나열되어 있는데 국기를 클릭하여 해당 나라의 속견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한국으로 설정이 되어있네요.
그리고 아래를 보시면 열/행 숫자에 따라 품명이 나오는데요,
상단 우측에 검색창이 있어서 원하는 키워드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저는 예시로 주스를 입력하여 검색해보도록 할게요.
검색을 해보시면 주스에 대한 품목번호와 품명(한글/영문), 기본세율, 탄력/양허 세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맨 처음 과실주스의 경우 품목번호가 2009라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과일 등으로 세부적으로 품목이 나뉘는 거죠.
저는 예시로 레몬주스를 클릭해봤는데요, 레몬주스를 클릭하니 국가, 해당년도, 품목번호, 단뒤, 품명(국문/영문),
간이정액환급, 원산지 등의 여러가지 정보가 나오네요.
그리고 그 아래로 내려보시면 세율이라면서 구분기호와 함께 2020년 세율이 나옵니다.
관세구분에 보시면 기본세율, WTO 협정세율, 아시아/태평양 협정세율 등의 관세구분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와있어요.
세율을 확인하시고 세율 밑에는 요건사항이 나오는데요, 수입이라며 세관장확인, 수출입공고, 통합공고 등이 보이네요.
그리고 수출, 전략물자, 기타 등의 조회결과를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 여기는 지금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전략물자의 경우에는 결과가 있으면 전략물자 분류번호와 품명, 전략물자통제명, 모델규격명, 전략물자통제상세내용, 제조자상호, 비고내용 등이 나온다고 해요.
참고로 하시면 될 것 같고요, 도움이 되는 정보길 바라며 오늘 글은 여기까지 쓰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