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지원혜택 자격조건 알아보자
- 생활상식
- 2019. 4. 9. 13:47
안녕하세요 다들 오늘도 좋은 오후입니다.
이제 한달만 지나면 어버이날이네요.
사실 저희가족도 한부모가정이랍니다.
어렸을 적 어머니께서 돌아가셔서
아버지 혼자서 세남매를 키우느라
정말 힘드셨을 거예요. 지금은 저나 동생들
다 어느덧 성인이 되었지만 말이예요.
저희 가족처럼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인해서 혼자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저는 부모의 입장은
아니었지만 혼자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만만치않은 일이라는 것은 알고 있답니다.
특히나 혼자서 키우다 보니 경제적 어려움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지요.
정부에서는 이러한 한부모가정의 생활안정과
자립을 위해 각종 지원제도를 마련해
실시하고 있답니다. 그럼 오늘은 한부모가정
지원혜택과 자격조건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할테니, 한부모가정이신 분은
모두 참고로 하시고 혜택받을 수 있는 것은
다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등 지원에 대한
안내입니다. 저소득한부모가족으로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52% 이하인
엄마 또는 아빠에게 그에 의해 양육되는
만 18세 미만 자녀를 지원대상으로 하는데요,
단, 취학 중인 경우엔 22세 미만까지
가능하며,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취학 중인 경우엔 병역의무를
이행한 기간을 가산한 연령미만을 말합니다.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은 기준 중위소득
60%이하일 때 발급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지원내용을 보면 아동양육비의 경우엔
만 14세 미만 아동에게 월 13만원씩
지원이 되구요, 추가 아동양육비는
조손가족 및 모 또는 부의 연령이 만 25세
이상인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에게 1인당 월 5만원 추가지원합니다.
아동교육지원비도 있는데요,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에게 1인당 연 54,100원씩
지원이 되며 생활보조금으로는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가족을 대상으로
가구당 월 50,000원을 지원한다고 해요.
위는 2018년도 한부모가족지원법 지원대상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에 대한 안내입니다.
가구원수에 따른 기준중위소득 52%와
60%에 나누어 금액이 나와있네요.
2인 가정의 경우에는 52%는 1,480,490원,
60%는 1,708,258원이라고 합니다.
한부모가족 복지자금 대여도 있습니다.
2016년도부터 저소득층 생업자금융자사업은
금융위원회 미소금융사업으로 통폐합
되었다고 하며 신규대출은 없다고 하는데요,
이용방법 문의는 미소금융중앙재단을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제도의 경우에는
한부모가족 중 모 또는 부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이며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청소년한부모
가족이 지원대상인데요, 이때 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72%이하
라고 합니다. 지원내용은 아동양육비와
검정고시 학습비, 고교생 학비,
자립지원촉진수당 등이 있다고 해요.
위 사진에는 청소년 한부모가구 소득인정액
기준이 나와있습니다. 아동양육비 등
급여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60%와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72%에 따라 가구원수별 금액이 보이네요.
신청방법은 세대주의 주소지 읍면사무소나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한데요, 온라인신청을 원하시는 경우
복지로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주소지 시군구에서 가구 및 소득조사를
한 후에 지원대상가구에 해당이 되면
서면으로 통보한다고 해요. 상담 및 문의는
한부모상담전화 또는 여성가족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이 가능합니다.
위는 양육비 이행서비스에 대한 안내예요.
양육비 이행서비스는 자녀를 양육하는
이혼/미혼 한부모가 비양육 부/모로부터
안정적으로 양육비를 지급받을 수 있게
상담과 협의, 소송, 채권추심, 제재조치
등을 종합적으로 서비스 지원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위 사진을 보시면 지원대상과
지원서비스와 함께 한시적 양육비
긴급 지원의 경우 지원요건과 지원금액,
지원기간 등이 나와있습니다.
1644-6621을 통해 전화상담 가능하구요,
온라인상담을 원하는 경우 양육비이행관리원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서울 서초구의 서울지방조달청에서
대면상담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이 내용은 2018년 4월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구요, 일부 내용은 참고하는 시점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